본문 바로가기
컨설팅

50인 미만 중소기업의 평균 업력 분포

by K-컨설팅 2025. 8. 13.
반응형

 

우리나라 50인 미만 중소기업의 평균 업력 분포는 고용노동부, 중소벤처기업부, 통계청 등의 자료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.

50인 미만 중소기업의 평균 업력 분포

 

1. 기본 개요

  • 중소기업기본법 기준으로 종업원 수 50인 미만 기업은 대부분 소기업 또는 영세기업에 해당함.
  • 우리나라 전체 기업의 약 **85~90%**가 종업원 50인 미만 기업이며, 이들 기업은 자영업형 또는 소규모 제조업/서비스업이 많음.

2. 업력 분포 개요 (통계청, 중기부 기준)

업력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구간비율(%)               특징
1년 미만 약 10~12% 창업 초기 기업. 생존율 낮음.
1~3년 약 20~25% 창업 후 안정기 진입 시기.
4~7년 약 25~30% 사업 안정화 단계. 지속 여부 결정되는 구간.
8~10년 약 15% 소기업 중 생존 기업. 내부 시스템 보유 가능성 있음.
10년 이상 약 20% 장수 기업. 지역 기반 사업, 가족경영형 다수.

 

  • ※ 비율은 업종과 조사 연도에 따라 다소 차이 있음 (대표적 조사: 중소벤처기업부 「중소기업실태조사」, 통계청 「경제총조사」 등)
  • 전체 평균 업력은 약 7~8년 수준으로 보고됨.

3. 생존율 통계와 연계

창업 후 경과 연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생존율
1년 생존율 약 63%
3년 생존율 약 40%
5년 생존율 약 28%
10년 생존율 약 10~13%
 
  • → 즉, 업력 10년을 넘긴 50인 미만 중소기업은 10곳 중 1~2곳 수준이며,
  • 대부분은 창업 3~7년 사이에 성패가 갈림.

 

4. 시사점

  • 업력이 3년 이상 7년 미만 기업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.
  • 기업 평균 업력이 짧은 이유는 높은 창업률과 동시에 폐업률도 높기 때문.
  • **장수 기업(10년 이상)**은 상대적으로 지역 밀착형, 가족경영, 숙련기반 업종에서 주로 나타남.

참고 통계 출처

  • 중소벤처기업부 「중소기업 실태조사」
  • 통계청 「경제총조사」, 「기업생멸통계」
  • 고용노동부 「사업체노동력조사」
  • 한국은행 「중소기업 재무제표 분석」
반응형